보조기억장치
보조 기억 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중적인 보조기억장치가 하드 디스크와 플래시 메모리입니다.
오늘은 하드디스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드 디스크 구조
하드 디스크에서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은 동그란 원판입니다.
이를 플래터라고 합니다. 하드 디스크는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플래터는 자기 물질로
덮여있어 수 많은 N극과 S극을 저장합니다. N극과 S극은 각각 0과 1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구성 요소를 스핀들이라고 합니다. 스핀들이 플래터를 돌리는 속도는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RPM이라는 단위로 표현됩니다.
RPM 1000인 하드 디스크는 1분에 1,000 바퀴를 회전하는 하드디스크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디스크암(액츄에이터 암)에 부착된 헤드라는 구성 요소는 플래터 위에 미세하게 떠 잇는 상태로
위치해 있습니다. 헤드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바늘 같이 생긴 부품입니다. 이러한 헤드를 액츄에이터 암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됩니다.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여러겹은 플래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또한 플래터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플래터는 트랙과 섹터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플래터를 여러 동심원으로 나누었을 때 그중 하나의 원을
트랙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트랙은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한조각을 섹터라고 부릅니다.
섹터는 하드 디스크의 가장 작은 전송단위입니다. 하나의 섹터는 일반적으로 512 바이트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플래터는 여러 겹으로 겹쳐 쓸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여러 플래터 상에서 같으 ㄴ트랙이 위치한 곳을 모아 연결한
논리적 단위를 실린더라고 부릅니다.
연속된 정보는 보통 한 실린더에 기록됩니다. 연속된 정보를 실린더에 기록하는 이유는 디스크 암을 움직이지 않고도
바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클러스터는 이러한 섹터를 여러 단위로 묶은 것을 뜻합니다.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접근 과정
하드 디스크가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탐색 시간 - 접근하려는 데이터가 저장된 트랙까지 헤드를 이동시키는 시간
2. 회전 지연 - 헤드가 있는 곳으로 플래터를 회전 시키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3. 전송 시간 - 하드디스크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상으로 하드 디스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도서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 강민철 - 교보문고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 혼자 해도 충분합니다! 1:1 과외하듯 배우는 IT 지식 입문서42명의 베타리더 검증으로, ‘함께 만든’ 입문자 맞춤형 도서이 책은 독학으로 컴퓨터 구조와
product.kyobobook.co.kr
'CS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란? (0) | 2023.04.26 |
---|---|
플래시 메모리란? (0) | 2023.04.19 |
캐시 메모리 (0) | 2023.03.03 |
명령어 사이클과 인터럽트에 대하여 (0) | 2023.02.15 |
CPU 구성 요소에 대하여 (0) | 2023.02.15 |